센터 비전 및 추진체계

세계 바이오 시장규모는 인구고령화 추세바이오 기술의 파급력으로 확대되고 있는 반면에
국내 바이오산업 성장은 약화 추세
* 고용유발계수 : 바이오 15.8명 VS 일반제조업 9.4명 (바이오 미래전략, 제11차 국가자문위, 2014.7)
출처 : STEPI, 한국바이벤처20년(2013)
출처 : MARKETLINE, Global Biotechnology(2015.2)
국내 바이오 기업 및 투자 현실
- 바이오 기업규모 영세/투자 저조로 세계 시장 진입 애로
* 직원 300명 미만 기업 83%, 손익분기 미만 기업 65% (국내바이오산업실태조사, 산업부/바이오협회, 2015)
- 바이오 창업급감으로 바이오산업 재도약을 위한 VC 초기투자 절실
출처: STEPI 바이오 벤처 DB
2015년 기준 자료 : 한국벤처캐피털협회
국내 바이오 기술•금융투자 지식을 겸비한 VC 절대 부족
* 2015년 126개 투자회사의 투자심사역 900명 중 100명 수준
* 바이오석박사 배출(2013년 3,500명) : R&D 편향, 금융•투자 겸비인력 부족
바이오기술•투자전문인력의 교육 및 활용을 위한 통합관리 전담기관 없음
- 산발적인 바이오 투자/창업교육과 인력활용은 협회별 회원관리 수준에 불과
특히 바이오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바이오 생태계 구축 필요
- 교육 > 멘토링 > 네트워킹 > (재)투자
바이오 분야 선순환 생태계 조성 및 활성화를 통한 바이오 전문
투자역량강화 시스템 구축
2023년 : 바이오 기술ㆍ투자 전문인력양성을 통한 핵심성과 창출
(역량강화 : 일반투자VC + R&D중심인력 → 兩手兼將 실무맞춤인력)
전문인력양성기관
(센터) 설립•운영
  • 바이오교육•인력활용의 구심점 역할(통합관리)
  • 협력컨소시엄 구성/운영 (전문인력/참여기관)
  • 선순환 생태계 조성 및 재정자립기반 구축
바이오전문인력
양성(3,500명 이상)
  • 실무지향 맞춤형 교육개발
    및 운영
  • 시행교육 우선활용
    (참여기관 공동협력)
  • 사업간 연계성/실행성 고려
    단계별교육
인력활용 성과창출
(440건 이상)
  • 전문자격제도 도입
  • 성과창출프로그램 운영
    (멘토링, IR, IPO)
  • 전문인력과 관련기관
    교류협력망 구축운영
    (취업 추천, 협력연구)
비전 및 목표
추진체계